전기차 충전할 때 불이 많이 난다고 하는데 그 문제와 해결책
전기차 구입을 계획하고 계시는분들과 수년 전부터 충전기를 잘 사용하고 계시는 분들께서도 읽어 보시기를 권합니다.
차고에서 전기차 충전중에 발생하는 불은 대부분 AC 240 Volt 전기 관련 화재입니다.
전기차나 충전기의 문제가 아닙니다.
전기차가 처음 보급될때 처럼 충전할 때 충전기나 밧데리 또는 전기차가 폭발하여 순간적인 대형화재 발생은 거의 일어나지 않습니다.
그러나 전기 누전에 의한 화재나 화재 직전의 사고는 많이 발생하나 대부분이 큰 불로 확대되기 전 사전에 진압되기에 보도가 나오지 않으나 큰일날뻔 했다는 사람들은 많습니다
Electric vehicles were not direct cause of garage fire. Officials say.
연방정부 소방청에서 전기차 관련 화재 예방을 위한 홍보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L. A. city 에서는 전기차 충전기 설치 전기공사 허가를 대폭 강화 하였습니다
그림에서 보는 것처럼, 에어컨과 전기차 충전기는 전압 전류 다 똑같습니다 .
그런데,에어컨은 익스프레스 퍼밋으로 가능합니다…
온라인으로 되고, 시청 창구에, 직접 가더라도, 5분도 안 걸립니다
그러나, 전기차 충전기 퍼밋을 내려면, 온라인은 아예, 되질 않고, 시청 창구에 가면, 사무직 직원은 일반적인 주소 성명 전화번호 정도만 확인을 하고,. 나머지는 프랜체크에 넘깁니다.
프랜체크 테스크에는, 전기 전문 기술자가 나와서, 전문적인 기술 검토를 합니다.
물론, 신청서 용지도 전혀 다르고, 기입하는 내용도 전혀 다릅니다.
그뿐이 아닙니다.
전기 용량 문제가 가장 크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시청 소정 양식 그린페이퍼에 도면을 그리라고 합니다..
전기차 충전시 발생하는 화재는 거의 대부분 차고 벽면에 설치된 240 볼트 Outlet Receptacle과 충전기의 Plug을 결합하는 부분에서 불이 발생하여 차고가 불타고 건물로 번지며 전기차도 불태웁니다.
대부분의 화재가 이 부분에서 발생되지만 지금도 해결되지 않고 같은 화재가 되풀이 되고 있습니다.
시청의 Permit을 받아 제대로 자재들을 사용하여 제대로 공사를 하여 인스펙션을 받았더라도 화재는 계속 발생하고 있습니다
NEMA 14-50 Outlet Receptacle 은 그림에서 보는 것 처럼 보통 사용하는 Plug (3번 그림) 보다는 그 크기가 많이 다릅니다. 크기만 큰게 아니고 전기 용량도 많이 큽니다.
그래서 과열이 되어 프라스틱과 같은 절연체가 기능을 잃고 누전으로 합선 - Short 가 되어 불도 나고 폭발도 합니다.
정식으로 자격있는 전기공사업자가 시공을하면서, 시청의 설치 허가를 받고, 인스펙션을 받은 건물에도, 그림과 같은 화재 직전의 현장들을, 가끔 만납니다..
포터블 충전기를, 전기차 트렁크에 싣고 다니다가, 충전할 때는, 충전기를 차에서 내려, 플럭을 벽면에 설치된 아울렛에 꽂으면, 전기차 충전기의 코드는, 대부분 짧아서, 아울렛에 플락을 제대로 꽂았다 하더라도, 전기 코드와 충전기의 무게로, 벽에 대롱대롱 매달리게 되어 그 결합이 느슨해지기도 합니다.
마치 주거용 건물의 방이나 주방에서 플럭을 꽂을 때나 뽑을때에 아울렛의 구멍이 커져서 결합이 느슨하면 작은 전기 히터나 전기다리미나 용량이 큰것을 꽂을 때나 뽑을 때 파란 불꽃이 튀는 것을 봤을 겁니다
이런 현상을 전기 공식용어로 아크 폴트라고 합니다
눈에 보이는 곳에 있는 것은 그냥 불꽃 한 번 튀기는 거로 넘어 가지만 냉장고 뒤나 책장 뒤나 옷장 뒤에 있는 아울렛은 대부분 먼지가 쌓입니다
그래서 불꽃이 튀어 많은 화재가 발생한다고 하는데 전 미국에서 1년에 3만 건에서 5만 건 정도의 화재가 났다고 합니다
10여년 전부터 코드가 바뀌어서 신축하는 건물들은 아울렛 Receptacle를 옛날에 쓰던 형식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또 어린이들이 머리핀이나 칼끝으로 구멍을 쑤셔 사고가 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가 들어간 Tamper Resistant 아울렛을 사용해야 합니다.
충전할 때 플러그를 꽂고 뺄 때 실수로 손가락이 들어가 닿으면은 큰일납니다
혹시라도 불이 났을 때는 화재 현장에서 뛰쳐나와 생명은 구할 수 있겠지만 실수로 손가락이 닿으면 큰일납니다
그래서 주거용 건물의 Kitchen과 Bathroom에는 Tamper GFCI를 설치해야하고 그 이외의 모든 장소에는 Tamper-Resistant and AFCI Outlet Receptacle 을 사용해야 합니다.
그러나 전기차는 예외입니다.
120 Volt 에도 AFCI 설치가 의무화 되어 있는데 240 Volt 50 Amp 전기차는 아닙니다.
120 Volt는 1,800 Watt 이고 전기차는 240 volt , 12,000 Watt 입니다.
240 Volt 50 Amp 는 Circuit Breaker는 1개에 400 불 정도하는 고가품입니다.
가끔 출장을 나가 보면, 제대로 설치가 안 된, 현상들을 보게 되는데, 전기 공사 기술자들이 오랜 기간, 10년 20년 전기공사 일을 했더라도, 한 번도 구경도 못한 사람들이 설치한 현장도 봅니다
이형식은 대형 전기 공사 업체의 직원들도 몇 년에 한번 볼까 말까 한 장치들입니다
거의 사용하지 않습니다.. 앞 그림에서 가정용 에어컨디셔너에서도 사용할 수 없습니다
특수한 장비에 사용하기도 하는데 그것도 아울렛 이전에 추가로 디스커넥 스위치를 설치해야합니다. 그리고 난 후, 아울렛을 설치하여 아울렛에 플럭을 꽂고 난 후 스위치를 ON으로 하여 사용하고 평소에는 스위치를 OFF 위치에 갖다 놓습니다
전선, 미국의 전선은 그냥 보는 그런 전선이 아닙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90도까지의 열에는 견딜 수 있어야 합니다
그러니 90도 이상의 훨씬 높은 온도에 견딜 수 있도록 상품을 생산합니다
미국의 전기 시스템은 한국의 전기 시스템과 많이 틀립니다
미국의 전기 시스템에서는 가정용의 경우에는 흰색 전선이 들어갑니다
흰색 전선은 한국에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전선에는 퓨즈가 있든가 서킷브레이크 스위치가 있게 되는데 흰색 전선에는 그런게 없습니다
흰색 전선에는 안전장치가 없기 때문에 아무리 대용량의 전기가 흘러도 전기가 차단되지 않습니다
이 그림의 메탈 박스들은 NEMA14-50에는 사용할 수 없는 규격입니다
그리고 전기차 충전기에 사용되는 전선들은 N.E.C. 내셔널 일렉트릭 코드에 맞추어 전선을 사용하면 안 됩니다
보통 한 단계 높은 규격의 전선을 사용하는데 테슬라의 경우에는 2단계 3단계까지 요구하기도 합니다
그러면 비용이 조금 아니라 훨씬 많이 더 듭니다
전기차 구입하시는 분들의 대부분은 포터블 전기차 충전기를 구입하신 후,
아울렛 리셉터클 설치 요청을 하십니다
그림과 같이, 차고 밖에 설치하는 경우에, 울타리나 담장이 없을 경우에는 아울렛 리셉터클을 설치하여 충전을 시작할 때 풀럭을 꽂고 충전이 끝나면 뽑아내어 전기차 트렁크에 싣고, 이런 식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어쩔 수 없이 아울렛 리셉터클을 설치해야 하겠지만,,,
그렇지도 않은 경우, 즉 도어가 있는 차고 안에서도, 포타블 충전기를 구입하시어, 아울렛 리셉타클 설치요청을, 하시는 경우도 많습니다…
전기차 충전기 관련, 240볼트 전기 화재는, 대부분, 이 부분에서 화재가 발생합니다..
Sosoo Electric은, 충전기 구입 이전에 문의가 있으면, 아울렛 리셉터클을 설치하지 않고, 포터블 플러그를 꽂을 필요가 없는, 월마운트 형 충전기를 추천드리며 설치해 드립니다
다음 그림에서 처럼, 플러그가 없고, 아울렛 설치가 필요 없고, 또, 충전기에서 플러그까지 가는, 케이블이 필요 없으니까, 충전기 가격도 쌉니다
가격도 싸지만, 고장 발생이나, 화재 위험 가능성이, 거의 없습니다...
포터블 충전기의 플러그를, 꽂고 뺄 때는, 특별히 주의를 해야 합니다
실수는 순간적입니다 충전기 옆에 항상 한국산 장갑, 바닥이 빨간색 고무 코팅이 된 장갑을 준비해 두시고, 충전할 때에는, 꼭 끼시고, 신발도, 밑창이 두꺼운, 고무 바닥 신발을 신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신경을 바짝 써서 꽂고 뽑아야 합니다
240 볼트 대용량 전기는 손가락으로 금속 부분에 손을 댈 때 터치가 아니고 힘을 주어서 꽉 잡기 때문에 감전이 되더라도 스스로 떼어내는 것이 불가능해집니다
그냥 순간적 적으로 세상 끝납니다
전기 감전 사고는 911이 오더라도 별 할 일이 없습니다.
충전기를 포터블이 아닌 벽걸이형 Wall Mount Style로 설치하면 충전기 속으로 전선이 바로 들어가기에 Outlet Receptacle이 아예 없습니다.
그래서 Outlet Receptacle의 화재 위험은 걱정할 일이 없습니다.
그러나 충전기의 뚜껑을 열어서 전선을 직접 연결하므로 당연히 자격있는 전기 기술자에게 의뢰해야 합니다.
문의 사항이나 도움이 필요하시면 연락 주세요
낮이나 밤이나 도와드립니다.
문 의
1-800-717-9080 또는 Cell 213-494-4160, kakao ID: signal123
e mail: owner@sosooelec.com입니다